음식 이야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설날 맞이 떡국 이야기 설날에 먹는 대표적인 전통음식으로 맑은 육수에 떡을 넣고 끓인 요리다. 떡국을 언제부터 먹기 시작했는지는 정확히 알 수는 없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 편찬된 , 등의 문헌에서 차례 상에 없어서는 안 될 음식으로 기록돼있어 조선시대 그 이전부터 떡국을 먹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설날에 떡국을 먹는 이유로는 음복설이 강하다. 오래전부터 신년 차례 상에 올린 떡국을 음복하게 되면서 설날=떡국이라는 공식이 자리 잡은 게 아닐까 싶다. 떡국은 국물요리인만큼 육수가 맛의 절반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근래에는 소고기 양지머리로 멀겋게 내는 게 일반적이지만 소를 함부로 도축할 수 없었던 조선시대에는 주로 꿩을 이용해 맛을 냈다. 이마저도 없을 때엔 닭을 이용했다. 해안가 지역에서는 멸치, 북어, 굴, 매생이를 넣어.. 더보기 부대찌개와 꿀꿀이 죽 부대찌개는 김치와 돼지고기, 햄, 소시지, 라면 등의 재료로 끓여 낸 찌개다. 김치에서 나오는 칼칼함과 가공육에서 나오는 특유의 고소함이 어우러져 술안주로도 인기가 높다.재료에서도 알 수 있듯이 부대찌개는 한국전쟁 이후 먹기 시작한 음식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전쟁 직후 먹던 꿀꿀이죽을 부대찌개의 원형으로 알고 있는데 여기에는 다른 의견도 있다. 꿀꿀이 죽은 한국전쟁 직후 미군이 버린 음식을 한데 모아 끓인 음식이다. 꿀꿀이죽이라 이름 붙은 것도 모양새가 꼭 돼지나 먹을 것 같은 모습이라서 붙은 이름이다. 꿀꿀이죽에는 정해진 조리법이 존재하지 않는데 먹을 만한 걸 모아 끓이면 그만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꿀꿀이죽에는 이 자국이 남은 햄이나 소시지가 들어있기도 했고, 담배꽁초나 껌, 비닐 같은 .. 더보기 돈까스는 일본에서 시험 전날 먹는 음식이다. 돈까스는 돼지고기를 저민 후 빵가루를 묻혀 튀겨낸 음식으로 한때 짜장면과 더불어 외식메뉴를 책임졌던 음식이다. 돈까스가 우리나라에 자리 잡은 건 일본을 통해서였지만 모두가 잘 알고 있듯이 돈까스는 서양 음식이다.돈까스의 뿌리라고 할 수 있는 음식은 오스트리아 전통 음식인 슈니첼(schnitzel)이다. 이 슈니첼을 영미권에서는 포크커틀릿(Pork Cutlet)이라고 불렀고, 근대화를 맞이한 일본에도 슈니첼이 아닌 포크커틀릿으로 전해지게 된다. 포크커틀릿이 처음 일본에 등장한 건 메이지 시대인 1895년으로 혼다 겐지로(本田源次郎)라는 요리사에 의해 소개되었다. 지금과 달리 얇게 썰어낸 돼지고기를 기름에 지져서 만들었는데 이름도 돈카츠(豚かつ)가 아닌 포크 카츠레츠(カツレツ)였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 더보기 김치의 옛 이름은 저(菹)였다. 김치. 배추나 무 등을 소금에 절인 다음 양념으로 버무린 음식으로 오랜 시간 숙성시켜가며 먹는 발효 식품이다. 국내는 물론 외국에서도 한국 하면 김치를 먼저 떠올릴 정도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음식 중 하나다.한국을 대표하는 음식인 만큼 김치의 기록은 고려시대부터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지금과는 그 모습이 사뭇 다르다. 예전 김치는 단순히 채소를 소금이나 소금물에 절인 형태였다. 이는 맛을 내기 위해서라기보다는 채소를 오랫동안 보관하기 위해서였다. 그래서 김장이라는 말 대신 소금물에 채소를 담근다 하여 ‘염지(鹽漬)’라 불렀고, 김치는 ‘지(漬)’ 혹은 ‘저(菹)’로 불렀다.조선시대에 이르러 김치는 ‘저(菹)’라는 이름 대신 딤채, 침채 등으로 불렸는데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김치냉장고 딤채도 여기서 온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