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설 같지 않은 소설/금융론은 모르는 세상론

인간 조기경보기, 방공작전통제병으로서의 삶



나는 방공작전통제병이었다. 그러니까 하늘에서 날아오는 적군의 공격으로부터 육군을 방어하기 위한 작전명을 하달하는 병사였다.

우리 진지는 최전방에 있었고, 강 건너에 북한 사람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었다. 부대는 본부에서 실시간으로 하달하는 작전명에 2분 안에 모든 방어조치를 완료하여 적의 공습에 대응할 수 있어야만 했다. 전쟁 발발시, 북한 전투기는 2분 내 서울 진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모든 작전명은 암호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달받은 암호를 다시 우리 진지에 실시간으로 알려줘야만 한다. 이를 위해 일개 병사는 짧은 시간 내 고도의 추가군사교육을 받아야 하며 교육 이수 후 바로 사령부 벙커로 투입된다. 나는 2년 간 2교대로 밤 12시부터 오전 8시까지 컴컴한 벙커 속에서 레이더와 암호방송을 청취했다.

전쟁이 나면, 그리고 내가 암호명 하나라도 잘못 외는 날에는, 최전방의 내 동료들은 싹 다 죽을거란 점을 현장에 와서 알게 되었다.

'**** 발령 최초추적 하달한다 최초추적 북한기!' 이 말을 이등병 말 때 처음 들었다. 매일하던 훈련인데 정작 가상적기가 아니라 북한기 소리를 들으니 넋이 나가버렸다. 뒤에서 선임병이 뒤통수를 후려 치면서 "뭐하고 있어 방송 안하고!" 외칠 때 비로소 전쟁 직전 상황임을 알았다.

전쟁 직전 단계인 ****은 군 생활 중 적어도 스무번 이상은 겪었다. 적은 집요하고 교묘했다. 휴전선을 코 앞에 두고 북한기가 새떼처럼 이동하기를 반복했다. 조금이라도 넘어오면 즉각 발사인 거다. 새벽에 북한기가 뜨면 모든 부대원이 잠옷차림으로 뛰어나가 장비에 올라탔다. 동이 틀 때까지 상황이 종료되지 않은 적도 적지 않았다.

불시로 작전통제관이 와서 상황을 주었다. 일종의 실시간 작전대응능력시험이었는데, 일정점수를 충족하지 못하면 군기교육대를 가야했다. (실제로 내 선임 중 한명은 점수미만으로 군기대에서 4박5일 구르고 왔다.) 기본점수마저 채우지 못하면 영창행이었다. 정말 죽기살기로 연습하고 실전에 대응했다. 그 때 월급은 2만원 채 안되던 시절이었다. 그렇지만 어떠한 불평 불만도 없었다. 돈이 문제가 아니라 죽고 사는 문제가 걸려 있었기 때문이다.

부대원 중 특히 작전통제병들은 극도의 스트레스에 시달렸다. 속사포처럼 쏟아지는 암호하달을 즉각 해독하여 방송으로 전달하는 한편, 다른 한명은 벙커 내 작전참모가 볼 수 있도록 투명 유리 지도에 적기의 이동경로를 실시간으로 표기해야 했다. 그 때 나는 글씨 거꾸로 쓰는 달인이 되었다.

어느 순간부터 손이 떨리는 증상이 생겼다. 이 증상은 제대 후 3년이 지난 시점까지 계속되었다. 라디오는 일부러 듣지 않았다. 지지직 소리만 들려도 싫었다.

제대 후 겪는 우리나라 청년들의 트라우마에 관한 연구가 있는지 궁금하다. 치료비는 당장 무상으로 못주더라도 상담 및 치료센터가 전국 곳곳에 있어야 하지 않겠는가 생각한다. 티비에서 보여주는 위협적 안보상황과 실제 마주하는 대치상황의 극명한 차이는 겪어본 자만 알 수 있다.

참고로 람보1은 영웅놀이가 아니라, 베트남 참전용사 중 한 명이 제대 후 겪는 트라우마에 대해 미국 내에서 얼마나 무관심했고 싸늘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획기적인 영화였다.